5월 초에 스카이 팩토리 4가 나와서 그걸 한다고 글을 올렸는데, 정작 파판하느라 마크를 못 함 ㅋㅋ
조금씩 짬내서 진행했고, 이제 플탐 50시간쯤 된거 같네요. 월드를 하드코어로 잘못 생성해서 다시 할까 했는데 처음부터 다시 하긴 너무 싫더라구요. 안 죽고 해야됨 ㅅㅂ
AE2 를 이용한 전체 자동화 공정 설비. 모든 자원들이 다 자동으로 주괴 형태나 블록 형태로 제작되어서 AE2 내에 저장됩니다. 채널 없는게 이렇게 편할줄이야.
각종 나무들. 스카이 팩토리 4는 나무랑 돼지를 이용해 자원을 얻습니다. 이거 생각보다 자동화가 엄청 쉽고 자동화 일단 해두면 자원이 넘쳐납니다.
베이스. 비 안 그침 ㅡㅡ
위더 잡는 곳입니다. 불 안 켜놨더니 몹이 좀 나왔는데 그냥 활로 쏴서 밀어버리면 됩니다.
위더 스켈레톤 농장. 이 모드팩에선 스포너를 직접 수정할 수 있어서 지옥에서 캐온 블레이즈 스포너로 위더 스켈레톤 스포너를 만들어놨습니다. 그 외에도 스폰 속도, 스폰량등을 조절할 수 있어서 몹 부산물이 부족할 걱정은 없습니다. 스포너를 캘 수 있다면 말이죠 ㅎ
에너지 생산 시설. 가마솥 밑에 횃불을 놓고 조약돌을 넣으면 용암이 나오는데, 이걸 용암 발전기에 넣는 구조입니다. 업그레이드 다 빵빵하게 발라놔서 몇만 RF도 거뜬할듯 싶고, 이 팩에선 그렇게 전기를 많이 쓸 일도 없습니다.
인페리움 에센스 농장. 인페리움 에센스 자체를 얼마 못 얻어서 아직 씨앗이 세 개뿐...
못 날던 흑우 시절의 흔적. 뚜벅이 싫어.
한 달정도 해본 소감.
1. 프레스티지 포인트 시스템이 상당히 거지같다. - 단계별 해금 시스템인데 문제는 포인트 얻기가 빡세고, 중요한 모드나 아이템에 락을 건 경우가 있습니다. 전 좀 하다가 강제로 꺼버렸습니다. 이삼일만에 그렉텍 핵융합로를 건설하시는 분이라면 이걸 켜고 하시면 플탐 증가에 아주 약간은 도움이 될지도?
2. AE2 채널은 사회악
3. 위더가 겁나 쎕니다.
4. 마법 계열 모드는 아스트랄 소서리 하나만 들어있는거 같은데 이거 아직 감이 안 잡히네요. 천천히 해봐야겠습니다.
5. 이 팩에서 날아다니려면 개고생을 해야합니다. 그나마 초반에 쉽게 얻을 수 있는게 에어 참인데 이건 공중에서 걸어다녀야됨 ㅋㅋ 딥 몹 러닝의 글리치 방어구가 그나마 좀 할만한데 문제는 뚜벅이 상태에서 트라이얼 진행하다가 글리치 뜨면 끔살당하기 딱 좋습니다. 얘가 위더2였나? 를 걸어서... 제트팩은 프레스티지 락 걸림 ㅋㅋ
6. 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옥은 스카이 블록이 아닙니다. 또한 맵 프리셋중에 자원만 없는 바닐라 월드도 있고, 자원 중에서 Lost cities 디멘션 채광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자원도 있습니다. 스카이 오디세이는 완전 스카이 블록이었다면 얘는 좀 짬뽕같은 느낌.
7. 프로젝트 E는 버그로 인해 현재 비활성화되었는데, 강제로 열어줄 수 있습니다. 아니면 프레스티지 200 포인트를 지불하던가. 전 그냥 이거 강제로 열고 함. 어차피 프레스티지도 활성화 안 했는데 ㅋㅋ
역시 구관이 명관이라고 확실히 짜임새있긴 합니다. 다만 퀘스트에 있어서 사소한 불만거리가 있는데, 바로 진행 사항이 FTB 퀘스트에 비해 덜 직관적으로 보이는 것. FTB 퀘스트쪽이 훨씬 낫습니다. 스카이 오디세이가 빠른 템포로 플레이하는게 목적이라면 스카이 팩토리 4는 좀 묵직하게 가야합니다. 특히 프레스티지 포인트 시스템이 그걸 강제해버리는 수준. 인간적으로 호핑 본자이 팟은 좀 그냥 풀어주자.
마지막으로 크고 아름다운 EMC 발전 장소. 한 변 길이가 32 블록인 정육면체입니다. 초당 발전량은...
1.57E EMC/s, 즉1.57*10^18 만큼의 EMC를 초당 생성합니다. 존나 좋군? 누적 EMC를 요타 단위까지 올려보고 싶었는데 그건 도저히 안 될거 같네요. 아깝
스카이 오디세이를 하실 분들을 위해 팁을 조금 드리자면
1. EMC 발전은 어느정도만 되면 필요없음. 파이널 플라워 팟까지 갈 필요도 없고, 파이널 스타 만들 수준만 되면 됩니다. 저처럼 32*32*32 파이널 플라워 팟 덩어리 만들 필요도 없습니다.
2. 모드 전체가 EMC와 연동되는 모드가 있고 아닌 모드가 있습니다. 전자 예시는 RFTools, 후자는 IC2와 테크 리본. 해서 EMC 연동이 잘 되는 모드로 초반 발전을 넘기고 AE를 시작하면서 지원이 좀 안되는 모드로 넘어가면 편합니다.
3. 엔드 포탈을 여는게 좀 헬인데, void ore miner에서 엔드 광석이 안 나옵니다. 해서 Deep Mob Learning 에서 Wither Data Model을 만들고 위더를 좀 잡아서 랭크를 좀 올려준 뒤, Extraterrestrial Matter를 사용해서 엔드 스톤을 만들어야 합니다. 위더 몇십마리 잡는게 진짜 너무 귀찮았습니다.
4. 사움크래프트의 최종 목표인 돼지 스폰알 만들기에는 프라이멀 펄이 필요합니다. 이걸 얻으려면 Flux Rift를 잡아야 하는데... 스폰 조건이 해당 청크에서 플럭스가 비스의 75%를 초과할 것 입니다. 해서 저는 크루시블에 파이널 스타를 우겨넣어서 플럭스를 강제로 생성하고 Causality Collapser로 플럭스 리프트를 조졌습니다. 문제는 플럭스 리프트가 자신에게 닿는 블록을 지워버린다는거. 해서 본진에서 좀 떨어져서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5. IC2 과전압 주면 겁나 잘 폭발합니다. 이거때문에 집 날아감 ㅋㅋ
6. 비스트 코인은 핑크 슬라임 파밍이 제일 효과적입니다.
7. 빌더 완드를 든 상태에서 엔더 IO의 Vibrant Capacitor Bank를 타겟하면 크래시납니다. 재접해도 크래시나고, 해결 방안은 맵 에디터로 직접 자기가 바라보는 방향의 캐패시터를 전부 지워주던가 Not Enough Wand 모드를 지우고 재접한 뒤 다시 설치하던가 둘 중 하나입니다. 절대 하지 마세요.
8. 블러드 알터 위에서 자해하다 죽으면 무덤이 안 생깁니다. 그니까 템이 말 그대로 증발합니다. 왜 아냐고요? 저도 알고 싶지 않았습니다.
싱글로도 누적 3일만에 클리어한만큼 멀티에서라면 일주일? 정도면 전부 다 주파할 수 있을거에요. 특히 멀티는 서버가 24시간 구동이니 EMC 수집이 더 쉬울겁니다. 한 번쯤 해볼만한 팩이니 츄라이 츄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