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aftTweaker / MineTweaker
(크래프트트위커 / 마인트위커)
원 개발자 : StanHebben, Jaredlll08
마인크래프트 버전 : 1.7.10 ~ 1.12 (1.12 기반)
트위커!
모드팩 깎는 장인들에게 있어서는 금싸라기가 아닐 수 없는 모드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모드를 잘 활용하면 마인크래프트의 레시피를 입맛대로 뜯어고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드온만 덕지덕지 붙여주면 직접 모드를 뜯어 손보지 않아도 타 모드의 레시피를 변경할 수 있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현재 다음 시즌의 모드팩을 위해 구르고 있는 팀원들에게 트위커 교육도 시킬 겸 이 강좌를 쓰게 되었습니다. HAYO?
참고로 트위커의 기본적인 내용은 1.7.10부터 1.12까지 별반 크게 차이나지 않기에 강좌의 버전폭을 넓혔습니다… 만 트위커도 어언 세월이 지나면서 세대 교체도 한 번 일어났고 많은 세부 기능이 우후죽순 추가되었기에, 새로운 기능같은 부분은 쓸 수 있는 버전인지 아닌지 별도로 주석을 달아드릴 예정입니다. 강좌는 아무래도 최신버전이기도 하고 기능면에서 더 풍부한 1.12에 초점이 맞춰질 예정이니, 혹시나 이 기능을 하위 버전에서 써봤더니 지원이 안된다! 는 둥의 에러 메세지가 뜬다면 코멘트에 남겨주시면 됩니다 하하
그럼 시작해봅시다!
0. 준비물
- 포지가 적절히 깔린 모드 마크 클라이언트
- 트위커 모드파일 ( * https://minecraft.curseforge.com/projects/crafttweaker )
- Notepad++, Sublime Text 등과 같은 텍스트에디터
- 긍지
1. 트위커를 입문해보자
보통 트위커 모드를 넣고 마인크래프트를 한 번 실행하고 나면 마인크래프트 폴더 안에 scripts라는 폴더가 생깁니다.
이 폴더가 바로 트위커가 불러들여오는 스크립트 파일들을 저장하는 곳입니다. 스크립트 파일은 .zs 란 확장자를 사용하므로, 앞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한 후에 마크로 적용하기 위해선 zs 파일로 저장해야 되겠죠?
이런 식으로 차곡차곡 저장하면 됩니다. 또한, scripts 폴더 내에 새로 폴더를 만들어서 스크립트를 따로 저장해도 인식이 되므로 스크립트 파일들을 그룹별(예: 작성시간, 모드 등)로 분류하고 싶으시면, scripts 폴더 내에 새로 폴더를 만들어서 정리하면 됩니다..
이제 스크립트 파일들이 어떻게 굴러가는지 알았으니 직접 스크립트를 작성해볼까요? 텍스트에디터를 열어줍시다.
짠, 아직 휑하군요. 이제 스크립트의 첫 걸음에 당도했으니 걸음마부터 떼야겠죠.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이란 법도 있잖아요? 후후
print(“Hello World!”); 를 쳐주신 다음, scripts 폴더 내에 반드시 zs 파일로 저장해줍시다.
자! 우리들의 첫 스크립트가 완성되는 순간입니다. 비록 “Hello World!” 밖에 출력하지 않지만, 첫 단추를 잘 채운 것이 곧 위대한 발걸음로 향하는 길이란 걸 여러분들은 잘 아시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ㅎㅎ
그런데 마크를 켜보면 Hello World! 란 문구는 어디에도 보이지 않습니다. 않이.. 기껏 스크립트를 썼는데 적용이 안된 것인가??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띠용! 마인크래프트 폴더 내에 minetweaker.log를 열어보면 Hello World!가 출력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minetweaker.log (1.12부터는 crafttweaker.log)는 앞으로 스크립트를 로딩하다 생긴 에러 메시지라던가, 트위커에서 추가하는 커맨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니 반드시 기억해두도록 합시다.
아 많이 썼다! 폐기물급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이정도도 버티면 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핵구데기 에디터.. 시발
다음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스크립트를 어떻게 굴려먹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합시다. 그럼 20000
'기타 공략 > 스크립팅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aftTweaker / MineTweaker] 02. 기초 트위커 문법 I (4) | 2018.02.02 |
---|